본문 바로가기
영어, 한 마디

"점심 먹고 합시다" Let's eat lunch and work again. - 맞을까요?

by 촌남자 2024. 6. 23.
반응형

Let's eat lunch and work again.(X)

 

위 문장은 그야말로 Broken English(콩글리시)입니다.

 

 

"다른 일을 하기 위해 하던 일을 잠시 중단하다" - break for~

 

 

이 경우처럼 '다른 일을 하기 위해 하던 일을 잠시 중단하다'라는 뜻으로 영어에서는 break라는 동사를 써서 break for~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점심 먹고 합시다"의 원어민 표현은 Let's break for lunch.입니다.

Let's have a lunch break.라고 말해도 되겠습니다.

 

막간을 이용하여 break를 활용하여 다른 문장도 만들어 볼까요?

1. Let's break for (a cup of) coffee. 커피 (한 잔) 마시고 합시다.
2. Let's break for dinner. 저녁 먹고 합시다.
3. Let's take a ten-minute break. 10분 동안 쉽시다. (=have)
4. Let's take a coffee break. 커피 마시면서 잠시 쉽시다.
5. Let's have a lunch break. 점심 먹고 합시다.
6. We broke for lunch at 12 : 30. 우리는 12시 30분에 점심 먹으려고 잠시 쉬었다. (잠시 쉬면서 점심을 먹었다.)

 

 

Q 1. 그럼 "10시에 커피 타임(브레이크) 가질게요."는 어떻게 말해야 할까요? 정답은 맨 아래 있습니다.

 

 

"비구름이 걷히고 있어요" - break (up)

 

 

요즘 비가 많이 내리고 있죠? 그런데 "비구름이 걷히고 있어요."라는 말을 하고 싶을 땐 어떻게 말해야 할까요? 그때는 break를 써 보세요. break는 여기서 '몰려 있던 것이 깨져 없어지다'라는 의미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The rain clouds are breaking (up).

 

Q 2. 그럼 "잠시 후 구름이 걷히고 해가 다시 나왔다."는 영어로 어떻게 말해야 할까요?

 

 

 

"열이 내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 be breaking

 

 

I think the fever is coming down.이라고 말하면 될까요? 아뇨! 이건 Konglilsh입니다.

 

그럼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요? 이때도 break라는 동사를 쓰세요. 그러면 break는 '갑자기 줄어들다, 중단되다'의 뜻을 가지므로 우리나라 말의 '열이 내리다'에 적당한 영어 낱말이 됩니다.

 

I think the fever is breaking.

 

Q 3. 그럼 "그녀의 열이 어젯밤에 내렸다."는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요?

 

 

"그녀에게 그 안 좋은 소식을 어떻게 전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 break the news

 

I'm at a loss how to break the news to her.

 

원어민은 break the news to~라고 말하여 '안 좋은 소식을 전하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즉, break는 안 좋은 소식을 전할 때만 사용하므로 break the bad news to~라고는 쓰지 않습니다.

 

be at a loss는 '어찌할 바를 모르다'는 뜻으로 'I don't know~'와 더불어 쓸 수 있습니다.

 

Q 4. 그럼 "나는 어제 그녀에게 그 (안 좋은) 소식을 전했어요."는 어떻게 말하면 될까요?

 

반응형

 

 

"추위가 곧 풀릴 겁니다." - break

 

추위는 cold weather라고 해도 되지만 며칠씩 계속되는 한파는 cold wave, cold spell이라고 합니다. 그 뒤에 break를 쓰면 '안 좋은 날씨가 지속되는 것이 중지되다'라는 뜻이 되므로 원어민이 사용하는 표현이 됩니다.

 

The cold spell will break soon. 올바른 원어민 영어가 되겠네요.

 

(직역식 딱딱한 표현 : The cold weather will end soon.)

 

Q 5. 그럼 "날씨가 곧 좋아지기를 바랍시다."는 어떻게 말하면 될까요?

 

 

"100 달러짜리를 바꿀 (잔) 돈 있으세요?" - break

 

이것은 다른 말로 하면 "100달러짜리 지폐를 깨뜨릴(헐) 수 있습니까?" 혹은 "100달러 자리 지폐를 바꿀 잔돈이 있습니까?"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좀 딱딱한 직역식 표현은 Do you have change for a hundred-dollor bill? 이 되겠습니다.

 

그러나 원어민은 break(깨트리다)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Can you break a hundred-dollor bill? 원어민이 쓰는 표현이라고 하겠습니다.

 

Q 6. 그럼 "100달러짜리를 바꿔 줄 만큼의 현금이 없어요."는 영어로 어떻게 말하면 될까요?

 

 

"나는 어떤 규정도 위반하지 않았다." - break

 

직역으로 딱딱하게 표현하면 I din't violate any rules.라고 해도 됩니다. 하지만, violate(위반하다)는 문어체에 주로 등장하는 단어이며, 원어민의 일상생활에서는 break라는 동사를 써서 '위반하다'라는 뜻을 표현합니다.

 

I broke no rules. 가 올바른 원어민 표현이 되겠네요.

 

Q 7. 그럼 "취재를 한다고 법을 위반할 수는 없다."는 영어로 어떻게 말하면 될까요?

 

 


 

 

 

Answer :

 

1. We'll break for coffee at 10. 

2. After a while, the clouds broke, and the sun came out again.

3. Her fever broke last night.

4. I broke the news to her yesterday.

5. Let's hope the weather will break soon.

6. I don't have enough cash to break a hundred-dollar bill.

7. You can't break the law for a story.

 

참고 및 출처

1. 이창수 저 「네이티브 영어 표현력 사전」(두산동아)

2. LONGMAN Active Study Dictionary

3. NeungYule LONGMAN English- Korean Dictionary

4.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

반응형